본문 바로가기

특수학교10

지적장애의 체계적인 지원 방법 지적장애를 정의하는 이유는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의 특성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맞는 체계적인 개별화된 지원을 하기 위함입니다. 단순히 장애를 분류하고 정의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지원을 통한 발전을 이뤄 사회 구성원으로서 적절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장애를 보는 관점 지적장애를 개념 하는 정의에는 세 가지가 있습니다. 의료적 모델, 사회적 모델, ICF 체계 모델이 있습니다. 1. 의료적 모델 - 장애를 단순한 개인의 신체 기관 또는 정신의 손상으로 정의합니다. 이는 장애를 비극적인 일이며, 개인의 무능력이 원인이라고 정의합니다. 신체 기관 및 정신의 손상이 있기 때문에 지원의 목적은 치료에 있으며 치료만을 위한 존재라고 정의합니다. 2. 사회적 모델 - 장애를 바라보는 사회의 관점으로 .. 2021. 7. 26.
지적장애의 정의(필요조건 3가지 및 5가지 정의) 지적장애를 정의하는 조건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이 3가지를 충족했다면 5가지 가정을 고려해서 진단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지적장애가 아닌데 지적장애로 판별할 수 있고 특수교육 대상자임에도 선정되지 못할 수도 있으니 장애를 정의하는 것은 신중해야 합니다. 지적장애의 정의 지적장애로 판별하기 위해서 세 가지 조건이 필요합니다. 지능, 적응 기술, 만 18세 이전 발현입니다. 이 세 가지 조건은 무조건 함께 충족해야 합니다. 지적장애 조건 3가지 지능 평균보다 2 표준 편차 이하여야 합니다. 적응 기술(개념적 적응기술, 사회적 적응기술, 실제적 적응기술) 세 영역의 적응기술의 평균 점수가 평균보다 2 표준 편차 이하이거나, 세 영역의 적응 기술 중 한 영역의 점수가 평균보다 2 표준 편차 이하여야 합니다.. 2021. 7. 26.
특수교육대상자(장애학생) 선정은 어떻게 되는 것일까? 장애학생이 특수학교에 입학하거나 입학한 학생을 특수학급(특수반)으로 재배치하기 위해서는 특수교육대상자로 선정되어야 합니다. 교사가 지능이 떨어지는 것처럼 보인다고 해서 특수학교 또는 특수학급으로 전학을 유도하거나 추천할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특수교육 대상자 선정 순서(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16조) 1. 일반학교 선생님께서 수업시간 또는 학교 생활 전반에 걸쳐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지능, 행동, 부적응, 심리 등을 파악해서 학부모님에게 특수교육대상자 선정을 위한 진단 및 평가를 받아보시라는 의견을 드립니다. 학부님에게 말씀드리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특수학급 선생님에게 먼저 자문을 구하는 것이 좋습니다. 2. (학부모님께서 동의하셨다면) 보호자 또는 학교의 장은 교육장 .. 2021. 7. 24.
[특수학교] 장애학생에게 교사 존칭 사용. 예전부터 하고 있었던 이유 얼마 전 교원 단체가 나이 어린 학생들에게 존칭을 사용해서 부르자는 제안을 했습니다. 00 씨, 00 님이라고 부르자는 겁니다. 어느 부분에서는 찬성하지만 또 어느 부분에서는 반대합니다. 특수학교에서는 수업 시간에 존댓말을 사용하는 등 장애 학생의 인권을 위해 예전부터 많은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학생의 인권, 교사의 인권 모두 중요하고 소중합니다. 언제부턴가 교사의 인권은 무시되고 있고 교사가 무조건 참아야 하는 사회 분위기가 생겼습니다. 교사의 인권을 보호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교사 존칭 운동이 생겨난 의의 교원 단체(전교조)에서 교사 존칭을 제안한 이유를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의 인권을 존중해주며 동등한 입장에서 관계를 형성합니다. 학생들도 마찬가지로 그.. 2021. 6. 16.